프레임 할당 - 프레임 할당, 정적/동적 할당, 쓰레싱, 페이징 크기
- 프레임 할당은 어떤 프로세스한테 얼마나 많은 메로리를 줄 것인가에 대한 개념이다. 쓰레싱은 페이지 부재로, 이것이 많이 일어나면 cpu 이용률이 감소된다. 쓰레싱을 극복하기 위해선 전역 교체 보단 지역 교체, 그리고 프로세스당 적절한 수의 프레임을 할당 해야 한다.
- 프레임 할당에는 정적 할당과 동적 할당이 있다. 정적 할당은 단순히 크기만 보고 정하기 때문에 동적 할당이 더 낫다. 동적 할당에는 working set model, page fault frequency 등이 있다.
- 페이지 크기는 현재 과거에 비해 많이 커졌고, 미래에는 더 커질 것이다.
파일 할당 - 디스크 구조, 파일 위한 디스크 블록 할당
- 파일 할당은 보조기억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. 보조기억 장치는 블록 단위의 읽기/쓰기를 한다.
- 파일 할당 방식에는 연속 할당과 연결 할당 등이 있다. 연속 할당의 장점은 디스크 헤더의 이동이 최소화되어 빠르고, 순차접근과 직접접근이 가능하다. 옛날에 많이 사용했었다. 그러나 이것의 큰 단점은 바로 외부 단편화다.
- 연결 할당은 포인터를 각 블록에 저장하여 외부 단편화를 해결했다. 그러나 연속 할당보다 속도가 느리고, 포인터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파일 실행이 되지 않아 신뢰도가 떨어지며,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다.
- 이를 보완한 방법이 FAT 파일 시스템이다. 이 방식은 포인터들만 다른 블록 안에 저장하고, 그에 대한 백업본도 준비해둔다. 이를 통해서 직접 접근도 가능해지고, 신뢰도도 상승시켰다.
'운영체제 (O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perating System (CPA310) (9/46) (0) | 2022.05.02 |
---|---|
2022.05.01 kocw 운영체제 강의 (12/13) (13/13) 완강 (0) | 2022.05.01 |
2022.04.28 kocw 운영체제 강의 (10/13) (0) | 2022.04.28 |
2022.04.26 kocw 운영체제 강의 (9/13) (0) | 2022.04.27 |
2022.04.26 (8/13) (0) | 2022.04.26 |